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어쩔 수가 없다> 분석 (퇴직현실, 일터갈등, 자기결정권)

by gogoyo 2025. 9. 24.
반응형

제목 '어쩔수가없다'

영화 <어쩔 수가 없다>(2025)는 퇴직을 앞둔 한 남성이 겪는 사회적 불안과, 그것을 딛고 다시 일어서는 과정을 유쾌하면서도 묵직하게 풀어낸 작품입니다. 이병헌, 손예진, 박보검 등 탄탄한 캐스팅과 현실감 넘치는 대사, 그리고 감정의 깊이를 담은 연출로, 오늘날 직장인들의 삶을 정조준합니다. “다 이루었다”는 마음으로 은퇴를 준비하던 주인공이 뜻밖의 퇴직 통보를 받고 다시 ‘재취업 전선’에 뛰어드는 이야기 속에는, 퇴직 이후의 현실, 일터에서의 갈등, 그리고 자기결정권을 되찾는 여정이 설득력 있게 그려집니다.

퇴직현실 – 다 이루었다는 착각, 진짜 시작은 그 이후

주인공 만수(이병헌)는 25년간 제지업계에 몸담아온 베테랑입니다. 사랑하는 아내(손예진), 두 자녀, 반려견과 함께 평범하고 행복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었죠. 하지만 본사로부터 갑작스러운 통보가 날아옵니다. “죄송합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라는 짧고 냉정한 말 한 마디. 만수는 더 이상 회사에 남을 수 없게 됩니다.

영화는 이 장면을 통해 퇴직이 단지 고용 종료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것은 정체성의 붕괴이며,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다시 던져야 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만수가 겪는 허탈함, 분노, 자괴감은 단지 개인적 감정이 아니라, 많은 중년 세대가 현실에서 마주하고 있는 감정입니다.

더욱 공감 가는 점은, 그 퇴직이 단순히 회사의 구조조정 결과일 뿐이라는 냉정한 현실입니다. 공로도, 실적도 무시된 채, 기업의 효율 논리에 따라 누구든 “어쩔 수 없다”는 말로 밀려날 수 있는 구조. 영화는 이런 현실을 날카롭게, 그러나 무겁지 않게 풍자합니다.

일터갈등 – 누구나 자리를 차지하고 싶다

만수는 퇴직 후, 정리해고된 자리를 되찾기 위해 공장을 다시 일으켜 세우겠다고 다짐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가장 큰 적은 외부가 아니라 같은 회사 안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특히 문 제지의 이사 반장(박보검)은 만수를 눈엣가시처럼 여기고, 끊임없이 압박과 방해를 가합니다.

영화는 이 대립을 통해 일터에서의 갈등이 단지 세대 차이나 감정 문제에 그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누구나 살아남기 위해 싸우는 구조, 그리고 선한 사람조차 경쟁자 앞에서는 이기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는 현실. 이건 단지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 모든 직장인들이 느끼고 있는 압박감과 불안 그 자체입니다.

특히 영화는 “문 제지의 자리는 누구나 노릴 수 있지만, 누구나 설 수는 없다”는 대사를 통해, 승진과 권력의 구조가 얼마나 비합리적이고, 동시에 냉정한지 보여줍니다. 만수는 반장과의 싸움 속에서 자신도 모르게 점점 예전과는 다른 사람이 되어감을 느끼고, 이 갈등은 영화 후반부에 깊은 반전을 만들어냅니다.

자기결정권 – 내 자리를 내가 만드는 사람들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은 만수가 스스로 말하는 대사입니다.
“나를 위한 자리가 없다면, 내가 만들어서라도 취업에 성공하겠다.”
이 대사는 단순한 각오나 의지가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 하는 태도를 상징합니다.

영화는 사회의 구조가 변하지 않음을 인정하면서도, 그 안에서 어떻게든 자리를 만들어 나가는 인간의 힘을 긍정합니다. 만수는 단지 이전의 직장을 되찾기 위한 ‘복수’가 아니라, 새로운 자신만의 일을 만들기 위한 싸움을 시작합니다. 그것은 시스템에 맞서는 것이기도 하고, 자신을 다시 믿게 만드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이 이야기 속에서 만수는 단지 한 명의 퇴직자가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모두의 자화상입니다. 영화는 해고와 퇴직, 갈등과 위기 속에서도 끝내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을 따뜻하면서도 힘 있게 그려냅니다.

<어쩔 수가 없다>는 퇴직 이후의 삶, 경쟁적인 일터, 그리고 자기결정권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을 던지는 영화입니다. 무겁고 씁쓸한 주제를 코미디와 스릴러라는 장르로 풀어낸 점도 인상적이며, 이병헌, 손예진, 박보검의 연기는 현실감을 극대화합니다. ‘직장이 사라진 자리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이 영화는 누구보다 따뜻하고 강한 목소리로 답합니다.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당신이라면, 이 이야기에 분명 공감하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